디지털 Logos 에디션
Lexham 리서치 주석은 연구와 조사의 출발점이다. 각 권의 주석은 독자들이 신속하게 답들을 찾아야 할 때 필요한 도구들을 제공해 준다. 이 주석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일들, 즉 필요한 정보를 찾기 위해 수많은 주석, 학술지, 논문들을 살피는 일을 해 주기 위해 고안되었고, 최고의 문헌들을 모두 한곳에 모아 안내해 줌으로써 독자들의 귀한 시간을 절약해 준다.
이 주석은 주석들에 대한 주석이다. 다양한 관점들 및 해석들에 주석을 달아 놓아 독자들이 특정 본문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을 빠르게 종합할 수 있게 했으며, 난해하고 전문 용어로 가득한 학술 자료들을 이해하기 쉬운 말들로 녹여냈다. 본문을 비평적으로 연구하는 독자들에게 문맥과 관련된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본문을 해당 성경의 협의적 문맥과 전체 정경의 광의적 문맥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17권 중 이미 출시된 책들은 구매와 동시에 서재에 추가되며, 아직 출시되지 않은 책들은 출시되는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배송되어 서재에 추가됩니다. Lexham 리서치 주석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Lexham 리서치 주석 시리즈가 한국어로 출간된 것은 한국 목회자들에게 획기적인 사건이다. 이 주석은 특정 쟁점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연구자의 균형 있는 해석에 도움이 된다. 또한 학자들의 견해와 연결된 주석의 출처가 종이책이 아닌 Logos의 디지털화된 자료로 되어 있어, 언제 어디서든 손쉬운 성경 연구가 가능하다.
—류호준,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구약학 은퇴 교수
Lexham 리서치 주석은 성경을 연구하는 독자를 위한 획기적인 선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많은 자료를 찾아 읽고 분석하여 중요한 논의를 파악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각 쟁점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와 이에 연결된 출처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연구자들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강대훈, 총신대학교 신약학 교수
Lexham 리서치 주석은 전통적인 주석이 포함한 서론, 구조, 본문에 대한 해설과 더불어 학계 동향과 견해에 대한 일종의 얼개를 제공하여 논쟁의 쟁점 그리고 특정 어휘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성경 속 쟁점에 관한 다양한 견해를 확실한 근거 자료와 함께 일목요연하게 보여줌으로써, 연구자가 그 가운데 길을 잃지 않고 각 저자의 견해를 확인하며 스스로 연구할 수 있도록 돕는다.
—김한원,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구약학 겸임교수
Lexham 리서치 주석의 가장 큰 장점은 해당 성경을 전체적으로 빠르게 조망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해당 성경의 메시지, 주제, 장르, 저자 및 저작 시기, 역사적 배경, 구조로 나누어 숲을 보듯이 해당 성경에 대한 요약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성경 연구 시간을 확보하기 만만치 않은 목회자들에게 매우 유용할 것이라 믿는다.
—이석재, 뉴질랜드 광명교회 담임목사
Lexham 리서치 주석은 정신없이 바쁜 목회자들을 위해 출간된 듯하다. 주석의 본론, 특히 ‘쟁점 한눈에 보기’에서 이 주석의 진면목이 잘 드러난다. 우선 해당 본문의 주제와 쟁점을 간략히 요약한 후 그 쟁점에 대한 여러 학자의 견해를 그들이 쓴 주석을 근거로 요약, 비교해서 보여준다. 이 과정은 독자가 여러 권의 주석을 읽고 요약하고 비교하는 수고를 덜어주고, 이로 인해 독자는 성경 해석과 설교 준비 시간을 절약하게 될 것이다.
—이혜성, 출판사 북오븐 대표
컬렉션으로 구입할 때 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Logos 사용자는 Logos의 도서들을 통해 기존 eBook에서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기능을 만날 수 있다. 주요 용어들은 Logos의 사전, 백과사전, 그리고 사용자의 디지털 서재에 포함된 모든 자료들과 서로 연결되어 있어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 큰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빠른 시간 내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 Logos의 강력한 검색 기능, 모바일 기기와 연동되는 독서 계획표는 Logos만이 가진 특별한 매력이다.
종합적인 연구 도구를 한 번에 제공하는 Logos 성경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게 보다 더 깊이 있고 입체적인 성경 연구의 기회를 제공한다.
얼핏 보면, 창세기 1–11장은 무작위적이고 느슨하게 관련된 이야기와 목록의 모음집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 장들이 창세기의 시작 부분에 위치하게 된 데에는 분명한 목적이 존재한다. 창세기 1–11장은 프리퀄로서, 전체 성경의 메시지에 배경을 제공한다. 하나님을 소개하고, 창조에 나타난 그분의 능력을 드러내며, 인류를 향한 하나님의 기대들을 조명한다.
마일즈 커스티스(Miles Custis)는 The End of the Matter: Understanding the Epilogue of Ecclesiastes의 저자이고, Faithlife Study Bible의 공동 편집자이며, 정기 간행지인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다. 트리니티 웨스턴 대학교에서 성경 연구로 MA 학위를 받았다.
웬디 위더(Wendy Widder)는 프리 스테이트 대학교에서 고대 근동 연구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히브리어 및 셈어 연구로 석사 학위(MA)를 받았으며, 그랜드래피즈 신학교에서 목회학 석사 학위(MDiv)를 받았다. 웬디는 Living Whole without a Better Half와 A Match Made in Heaven: How Singles and the Church Can Live Happily After의 저자이며, The Forest and the Trees: Helping Teachers Integrate a Biblical Worldview Across the Curriculum의 공동 저자이다.
족장 내러티브들은 하나님이 타락하고 죄로 물든 사람들을, 아브라함에게 주신 특별한 축복을 통해 하나님 자신과의 올바른 관계로 회복시키시려는 계획을 묘사한다. 약속과 축복의 주요 주제들은,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약속들이 반복되면서, 족장 내러티브들 전체에 걸쳐 흐른다. 아브라함의 자손은 하나님의 택하심을 입은 백성이라, 세상에 축복이 흘러가게 하는 통로라 불리지만, 그들의 내부적 갈등들이 계속해서 그것들의 효력을 제한한다.
마일즈 커스티스(Miles Custis)는 The End of the Matter: Understanding the Epilogue of Ecclesiastes의 저자이고, Faithlife Study Bible의 공동 편집자이며, 정기 간행지인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다. 트리니티 웨스턴 대학교에서 성경 연구로 MA 학위를 받았다.
웬디 위더(Wendy Widder)는 프리 스테이트 대학교에서 고대 근동 연구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히브리어 및 셈어 연구로 석사 학위(MA)를 받았으며, 그랜드래피즈 신학교에서 목회학 석사 학위(MDiv)를 받았다. 웬디는 Living Whole without a Better Half와 A Match Made in Heaven: How Singles and the Church Can Live Happily After의 저자이며, The Forest and the Trees: Helping Teachers Integrate a Biblical Worldview Across the Curriculum의 공동 저자이다.
요나서는 하나님이(이스라엘을 억압하는 적이든지, 하나님께 반항하는 선지자이든지, 하나님이 택하신 백성이든지를 막론하고) 자신이 택하신 각 대상에게 베푸시는 신적 자비, 신적 정의, 하나님의 자유에 대한 책이다. 여호와는, 다른 누군가가 그분의 행동 방식과 관련해서 갖는 견해나, 그분이 계속해서 정의롭고 자비롭고 긍휼하시기 위해 하셔야 할 일과 관련해서 갖는 견해에 얽매이지 않으신다. 요나서는 요나가 바라는 엄중하고 신속한 정의와 하나님이 베푸시는 과분한 자비 사이의 대조를 제공한다.
웬디 위더(Wendy Widder) 박사는 Faithlife 와 Logos 모바일 교육에 공헌할 편집자로 계약되어 있지만, 경력의 상당 시간을 교실에서 보냈다. 5학년 학생들을 시작으로, 대학과 신학교의 학생들을 가르치는 데 이르게 되었다. 현재 웬디는 자신이 다니는 지역 교회에서, 기회가 있을 때마다 교육과 설교로 봉사하고 있다. 웬디는 남아프리카의 프리 스테이트 대학교에서 고대 근동 연구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히브리어 및 셈어 연구로 석사 학위(MA)를 받았으며, 그랜드래피즈 신학교에서 목회학 석사 학위(MDiv)를 받았다.
웬디는 두 권의 책, Living Whole without a Better Half (2nd edition; Kregel Publications, 2014)와 A Match Made in Heaven: How Singles and the Church Can Live Happily Ever After (Kregel Publications, 2003)를 저술했다. 또한 기독교 학교 교사들을 위해 자신의 아버지와 함께 The Forest and the Trees: Helping Teachers Integrate a Biblical Worldview across the Curriculum (Wipf and Stock, 2008)을 공동 집필했다. 뿐만 아니라, 그녀의 석사 학위 논문과 박사 학위 논문은 각각 Logos Bible 소프트웨어와 Walter de Gruyter에서 출간되었다. 웬디는 평신도들을 위해 성경적, 신학적으로 견고한 자료들을 집필하는 일은 물론, 성경을 흥미로운 방식으로 가르치는 일에 가장 큰 열정을 가지고 있다.
차주엽은 한국성서대학교(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ThM)에서 신학을 공부했고, 다수의 신학서적과 주석을 편집했다. 『AOTC 레위기』(공역)와 『NAC 레위기』(이상 부흥과개혁사)를 번역했고, 『Lexham 성경사전』(Logos 성경 소프트웨어)의 번역에 참여한 바 있으며, Lexham 리서치 주석 번역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다.
바울이 로마에 보내는 서신은 그의 가장 중요한 글로 여겨질 뿐 아니라 기독교 신앙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글들 중 하나로 여겨진다. 하나님의 의가 로마서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바울은 복음이, 구원을 가져오는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을 믿는 모든 사람을 위한 구원을 가능하게 만들어 준다고 선언한다.
데릭 브라운(Derek R. Brown)은 Lexham Press의 학술서 편집자다. 에딘버러 대학교에서 신약 연구와 기독교 기원으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리젠트 칼리지에서 신약 연구로 석사 학위(MCS)를, 오리건 대학교에서 종교학으로 학사 학위(BSc)를 받았다. Faithlife Study Bible의 공동 편집자이고, Studies in Faithful Living과 Lexham 리서치 주석의 공동 저자이며, 정기 간행지인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이자 Lexham 성경사전의 기고자이기도 하다.
고린도전서는 기독교 공동체가 그들과 상충하는 사상, 정신, 신들을 가진 문화 가운데서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살아간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말한다. 고린도전서에서 바울이 이야기하는 많은 쟁점과 문제들 각각은 고린도의 신자들이 그리스-로마 사회에서 자신들의 믿음을 살아내면서 직면하게 되는 고투들과 관련된다.
데릭 브라운(Derek R. Brown)은 Lexham Press의 학술서 편집자다. 에딘버러 대학교에서 신약 연구와 기독교 기원으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리젠트 칼리지에서 신약 연구로 석사 학위(MCS)를, 오리건 대학교에서 종교학으로 학사 학위(BSc)를 받았다. Faithlife Study Bible의 공동 편집자이고, Studies in Faithful Living과 Lexham 리서치 주석의 공동 저자이며, 정기 간행지인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이자 Lexham 성경사전의 기고자이기도 하다.
고린도후서에서 사도 바울은 자신의 진실성과 사역에 대한 지속적인 의심에 맞서고 고린도교회가 자신과 화해할 것을 청한다. 그의 가장 개인적인 편집에서, 바울은 고난받는 그리스도와 부활의 능력에 대한 메시지를 전한다.
데릭 브라운(Derek R. Brown)은 Lexham Press의 학술서 편집자다. 에딘버러 대학교에서 신약 연구와 기독교 기원으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리젠트 칼리지에서 신약 연구로 석사 학위(MCS)를, 오리건 대학교에서 종교학으로 학사 학위(BSc)를 받았다. Faithlife Study Bible의 공동 편집자이고, Studies in Faithful Living과 Lexham 리서치 주석의 공동 저자이며, 정기 간행지인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이자 Lexham 성경사전의 기고자이기도 하다.
웬디 위더(Wendy Widder)는 프리 스테이트 대학교에서 고대 근동 연구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히브리어 및 셈어 연구로 석사 학위(MA)를 받았으며, 그랜드래피즈 신학교에서 목회학 석사 학위(MDiv)를 받았다. 웬디는 Living Whole without a Better Half와 A Match Made in Heaven: How Singles and the Church Can Live Happily After의 저자이며, The Forest and the Trees: Helping Teachers Integrate a Biblical Worldview Across the Curriculum의 공동 저자이다
갈라디아서에서 바울의 주된 관심은, 사람은 오직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여김을 받는다(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데 있다. 갈라디아서에서 바울은 이 관심사를, 반대에 직면한 자신의 사도권을 변호함으로써,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의 자유와 성령에 의한 삶에 대한 강조를 통해 참된 복음을 갈라디아 신자들에게 적용시킴으로써 다루고 있다.
데릭 브라운(Derek R. Brown)은 Lexham Press의 학술서 편집자다. 에딘버러 대학교에서 신약 연구와 기독교 기원으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리젠트 칼리지에서 신약 연구로 석사 학위(MCS)를, 오리건 대학교에서 종교학으로 학사 학위(BSc)를 받았다. Faithlife Study Bible의 공동 편집자이고, Studies in Faithful Living과 Lexham 리서치 주석의 공동 저자이며, 정기 간행지인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이자 Lexham 성경사전의 기고자이기도 하다.
김태형은 Australian College of Theology(BTh),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성균관대학교 번역대학원(MA)에서 공부했다. 번역한 책으로는 『개혁주의 스터디바이블』(공역), 『ESV 성경공부시리즈』 다수, 『신학 교육의 역사』(이상 부흥과개혁사), 『안경 없이 성경 읽기』(좋은 씨앗) 등이 있으며, 『Lexham 성경사전』(Logos 성경 소프트웨어)의 번역에 참여한 바 있다.
바울은 하나님이 주신 복들에 대한 찬양으로 에베소 사람들에게 보내는 편지를 시작한다: “그리스도 안에서 하늘에 속한 모든 신령한 복을 우리에게 주신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를 찬송하리로다”(엡 1:3). 이 한 문장은 여러 면에서 바울의 편지의 메시지를 요약한다: 하나님은 그분이 그리스도 안에서, 그분의 은혜로, “우리를 위해” 하신 일에 대해 찬양을 받으셔야 한다.
데릭 브라운(Derek R. Brown)은 Lexham Press의 학술서 편집자다. 에딘버러 대학교에서 신약 연구와 기독교 기원으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리젠트 칼리지에서 신약 연구로 석사 학위(MCS)를, 오리건 대학교에서 종교학으로 학사 학위(BSc)를 받았다. Faithlife Study Bible의 공동 편집자이고, Studies in Faithful Living과 Lexham 리서치 주석의 공동 저자이며, 정기 간행지인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이자 Lexham 성경사전의 기고자이기도 하다.
매튜 화이트헤드(Matthew M. Whitehead)는 Faithlife Study Bible의 편집에 참여했으며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로 활동했다. 그는 Discoveries in the Judaean Desert 시리즈의 디지털화 과정을 도왔고, Oxford Hebrew Bible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매튜는 노스웨스트 침례 신학교에서 목회학 석사(MDiv)를 받았고, 트리니티 웨스턴 대학교에서 성경 연구로 석사(MA) 과정 중에 있다.
한재구는 백석대학교 학부와 대학원, 독일 뮌헨 대학교 및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고전어와 신학을 공부하고 여러 기독교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해 왔다. 조직신학과 종교개혁사, 신학사와 성경신학에 관심을 갖고, 그와 관련된 편집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Lexham 성경사전』(Logos 성경 소프트웨어)의 번역에 참여한 바 있다.
빌립보서는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이야기하는 유명한 기독론적 찬가를 가진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바울의 메시지는 기독론에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오히려 바울은 빌립보인들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어떻게 믿음이 없는 세상에서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바울은 빌립보인들에게 사회 속에서 복음에 합당하게 살도록 촉구하면서, 이런 행동의 궁극적인 본이신, 높여지신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찬양한다.
데릭 브라운(Derek R. Brown)은 Lexham Press의 학술서 편집자다. 에딘버러 대학교에서 신약 연구와 기독교 기원으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리젠트 칼리지에서 신약 연구로 석사 학위(MCS)를, 오리건 대학교에서 종교학으로 학사 학위(BSc)를 받았다. Faithlife Study Bible의 공동 편집자이고, Studies in Faithful Living과 Lexham 리서치 주석의 공동 저자이며, 정기 간행지인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이자 Lexham 성경사전의 기고자이기도 하다.
이정훈은 합동신학대학원(MDiv)과 Trinity Western University(언어학, MA)에서 수학한 후 위클리프성경번역선교회 소속 선교사로 수년간 섬겼으며, McMaster Divinity College에서 신약학 석사(MA)를 마친 뒤 현재는 스탠리 포터 교수의 지도로 박사 논문을 작성 중에 있다.
골로새서에서 바울이 전하는 중심 메시지는 골로새의 거짓 철학 및 그것이 복음의 진리에 가한 위협에 맞서, 그리스도의 충분성을 확증하는 것이다. 바울은 편지 전체에서 그리스도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반복해 일컫는다. 바울은 편지 전체에 걸쳐 이 그리스도론을 근거로, 권세자, 통치자, “초등학문”에 대한 골로새인들의 두려움을 완화하고, 골로새에 퍼진 “헛된 철학”에 대항해 그리스도만으로 충분함을 재확인한다.
데릭 브라운(Derek R. Brown)은 Lexham Press의 학술서 편집자다. 에딘버러 대학교에서 신약 연구와 기독교 기원으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리젠트 칼리지에서 신약 연구로 석사 학위(MCS)를, 오리건 대학교에서 종교학으로 학사 학위(BSc)를 받았다. Faithlife Study Bible의 공동 편집자이고, Studies in Faithful Living과 Lexham 리서치 주석의 공동 저자이며, 정기 간행지인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이자 Lexham 성경사전의 기고자이기도 하다.
이민희는 대학과 대학원에서 토목공학을 전공하고, 후에 대학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번역한 책으로는 『다시 읽는 아우구스티누스』(도서출판100), 『사막의 지혜』(공역), 『그리스도교를 다시 묻다』(이상 비아) 등이 있으며, 『Lexham 성경사전』(Logos 성경 소프트웨어)의 번역에 참여한 바 있다.
데살로니가인들에게 보내는 바울의 첫 편지는 두 가지 주요 관심사에 초점을 맞춘다. 하나는 그와 데살로니가 신자들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주님의 다시 오심에 대해 그들을 격려하는 것이다. 여러 면에서, 이 편지는 데살로니가인들이 바울과 그의 동료 사역자들로부터, 그리스도로부터, 그리고 이미 죽은 신자들로부터 분리되어 있다는 주제를 중심으로 한다.
데릭 브라운(Derek R. Brown)은 Lexham Press의 학술서 편집자다. 에딘버러 대학교에서 신약 연구와 기독교 기원으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리젠트 칼리지에서 신약 연구로 석사 학위(MCS)를, 오리건 대학교에서 종교학으로 학사 학위(BSc)를 받았다. Faithlife Study Bible의 공동 편집자이고, Studies in Faithful Living과 Lexham 리서치 주석의 공동 저자이며, 정기 간행지인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이자 Lexham 성경사전의 기고자이기도 하다.
데살로니가후서의 중심 메시지는 그리스도의 다시 오심과 주님의 날을 기대하면서 현재의 삶에서 신자로 살아가는 긴장과 관련된다. 데살로니가후서는 신자들에게 현재적인 지상에서의 삶과 주님과 함께하는 미래적인 영원한 삶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요청한다. 이 편지는 주님의 날에 있을 약속된 그리스도의 재림을 기대하는 동시에, 그분이 다시 오실 때까지 신실하게 사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데릭 브라운(Derek R. Brown)은 Lexham Press의 학술서 편집자다. 에딘버러 대학교에서 신약 연구와 기독교 기원으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리젠트 칼리지에서 신약 연구로 석사 학위(MCS)를, 오리건 대학교에서 종교학으로 학사 학위(BSc)를 받았다. Faithlife Study Bible의 공동 편집자이고, Studies in Faithful Living과 Lexham 리서치 주석의 공동 저자이며, 정기 간행지인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이자 Lexham 성경사전의 기고자이기도 하다.
디모데전서의 전반적인 메시지는 “바른 교훈”에 관한 것이다. 이 편지의 전체적인 방향은 올바른 가르침을 독려하고 거짓된 가르침이 자라나지 못할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다. 그런 환경의 일환으로, 그리스도인의 삶은 사회, 정치, 종교를 포함한 모든 일상 영역 안으로 확장해야만 한다.
더글러스 맹검(Douglas Mangum)은 Lexham Press의 학술서 편집자다. 프리 스테이트 대학교에서 히브리어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히브리어 및 셈어 연구로 석사 학위(MA)를 받았다. Lexham English Bible과 Lexham 리서치 주석의 편집장이고, Faithlife Study Bible의 공동 편집자이며, Studies in Faithful Living의 공동 저자이자 정기 간행지인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일 뿐 아니라 Lexham 성경사전의 주요 자문 위원이기도 하다.
토드 트위스트(E. Tod Twist)는 Faithlife Study Bible의 주요 참여자이자 Bible Study Magazine의 정기적인 기고자이다. 토드는 신학 연구 석사 학위(MA)와 히브리어 석사 학위(MA)를 가지고 있다.
채정태는 연세대학교(BA)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한 후 다년간 목회 사역과 출판 업무를 병행했으며, 현재 미국 베일러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있다(MA). 『성전으로 읽는 성경 이야기』(부흥과개혁사)와 마이클 하이저의 『성경의 초자연적 세계관』, 『천사를 말하다』(좋은씨앗)를 번역했으며, 『Lexham 성경사전』(Logos 성경 소프트웨어)의 번역에 참여한 바 있다.
디모데후서에서 바울은 자신의 사역 유산에 특별히 신경을 쓰는 것처럼 보인다. 바울은 자신이 떠난 후에 그의 사역을 디모데가 이어가길 원한다. 바울은 본보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디모데가 자신이 가르쳤던 것을 본으로 삼아 가르침으로써 교사로서의 신뢰성을 유지하도록 촉구한다.
더글러스 맹검(Douglas Mangum)은 Lexham Press의 학술서 편집자다. 프리 스테이트 대학교에서 히브리어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히브리어 및 셈어 연구로 석사 학위(MA)를 받았다. Lexham English Bible과 Lexham 리서치 주석의 편집장이고, Faithlife Study Bible의 공동 편집자이며, Studies in Faithful Living의 공동 저자이자 정기 간행지인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일 뿐 아니라 Lexham 성경사전의 주요 자문 위원이기도 하다.
토드 트위스트(E. Tod Twist)는 Faithlife Study Bible의 주요 참여자이자 Bible Study Magazine의 정기적인 기고자이다. 토드는 신학 연구 석사 학위(MA)와 히브리어 석사 학위(MA)를 가지고 있다.
디도서 전반에 걸쳐 바울은, 바른 믿음과 그 결과로 나타나는 선행을 촉진하는, 바른 교훈의 중요성에 초점을 두고 디도를 가르친다. 바울은 장로 임직을 통해 그레데 교회의 체계를 세우고 거짓 교사의 교훈 때문에 생겨난 피해를 바로잡아야 할 필요를 표현한다. 거짓 교훈의 해독제는 바른 교훈이다.
더글러스 맹검(Douglas Mangum)은 Lexham Press의 학술서 편집자다. 프리 스테이트 대학교에서 히브리어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히브리어 및 셈어 연구로 석사 학위(MA)를 받았다. Lexham English Bible과 Lexham 리서치 주석의 편집장이고, Faithlife Study Bible의 공동 편집자이며, Studies in Faithful Living의 공동 저자이자 정기 간행지인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일 뿐 아니라 Lexham 성경사전의 주요 자문 위원이기도 하다.
토드 트위스트(E. Tod Twist)는 Faithlife Study Bible의 주요 참여자이자 Bible Study Magazine의 정기적인 기고자이다. 토드는 신학 연구 석사 학위(MA)와 히브리어 석사 학위(MA)를 가지고 있다.
빌레몬서는 그리스도인들이 복음의 신학(유대인이나 이방인이나 믿는 자는 모두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것)으로 하여금 그들이 다른 사람들과 관계 맺는 방식을 철저히 변화시키게 해야 한다고 요청한다. 빌레몬의 경우에 이것은 오네시모를 다시 받아들이되 처벌받아야 할 종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 형제로 받으라는 것이며, 이것은 아마도 종 신분에서 해방된 자로 받으라는 의미일 것이다.
데릭 브라운(Derek R. Brown)은 Lexham Press의 학술서 편집자다. 에딘버러 대학교에서 신약 연구와 기독교 기원으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리젠트 칼리지에서 신약 연구로 석사 학위(MCS)를, 오리건 대학교에서 종교학으로 학사 학위(BSc)를 받았다. Faithlife Study Bible의 공동 편집자이고, Studies in Faithful Living과 Lexham 리서치 주석의 공동 저자이며, 정기 간행지인 Bible Study Magazine의 기고자이자 Lexham 성경사전의 기고자이기도 하다.
차주엽은 한국성서대학교(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ThM)에서 신학을 공부했고, 다수의 신학서적과 주석을 편집했다. 『AOTC 레위기』(공역)와 『NAC 레위기』(이상 부흥과개혁사)를 번역했고, 『Lexham 성경사전』(Logos 성경 소프트웨어)의 번역에 참여한 바 있으며, Lexham 리서치 주석 번역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다.
베드로전서는 사회적 압박과 배척에 직면한 교회에게 주어진 것이지만, 그 메시지는 예수 그리스도의 기초에 근거한 소망에 대한 것이다. 이 교회들은 하나님이 그들을 거룩한 나라(즉, 예수 그리스도의 피를 통해 빚어진 통일체가 되어 민족적인 정체성 표지들을 무시하는 독특한 사람들의 무리)로 구별하셨음을 확신할 수 있다.
폴 하임스(Paul Himes)는 사우스이스턴 침례 신학교에서 신약학으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고, Foreknowledge and Social Identity in 1 Peter의 저자이다. 그는 일반 서신, 특히 베드로전서와 베드로후서의 본문과 신학에 대한 다수의 소논문과 에세이를 출간한 바 있다.
34개 리뷰
Jooeun Lee
2023-01-29
정정호
2022-04-12
KYU SUNG KANG
2022-02-12
Kim sangwun
2022-02-07
Kim sangwun
2022-02-07
Jonghoe Byun
2022-02-04